용인플랫폼시티 개발 착공
2030년까지 준공 목표로
산업·주거 첨단도시 구축
용인플랫폼시티 조감도. 용인시 제공
경기도 용인시에 조성되는 ‘용인플랫폼시티’가 본격적인 개발 착공에 나섰다. 이번 착공으로 용인반도체클러스터와 직주 근접의 퍼즐이 완성되며, 산업과 주거가 함께 발전하는 첨단도시 구축이 본격화됐다. 용인플랫폼시티가 향후 첨단 반도체 산업을 뒷받침할 배후 자족도시로 발전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경기도와 용인시는 11일 오후 2시 용인시 기흥구 옛 올리브스퀘어 용지에서 ‘경기 용인플랫폼시티 도시개발사업 착공식’을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김성중 경기도 행정1부지사, 이상일 용인시장, 이종선 경기주택도시공사 사장 직무대행, 신경철 용인도시공사 사장 등이 참석했다.
용인플랫폼시티는 기흥구 보정동·마북동·신갈동과 수지구 상현동·풍덕천동 일대에 272만㎡(약 83만평) 규모로 조성되는 경제 자족형 복합 신도시다. 사업비만 8조2680억원에 달하며 시와 경기도, 경기주택도시공사, 용인도시공사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공영개발 방식으로 추진된다.
지난해 12월 말 용인도시공사가 담당하는 3공구 개발 작업이 시작된 데 이어 오는 4월에는 경기주택도시공사가 1·2공구를 착공할 예정이다. 전체 사업은 2030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
당초 용인플랫폼시티는 2029년 준공을 목표로 했으나, 대규모 사업인 만큼 교육환경영향평가와 환경영향평가 과정에서 행정 절차가 지연됐다.
교육환경영향평가에서는 학생들의 학교 배치 문제가 제기되면서 심의가 늦어졌고 이에 따라 초등학교 2곳, 중학교 2곳, 고등학교 1곳을 신설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또 환경영향평가 과정에서는 영동고속도로 소음이 주거지역에 미치는 영향이 문제로 지적돼 주거 및 산업시설 배치 계획을 전면 수정했다. 교육과 환경 관련 지적사항 등을 말끔히 해결한 만큼 향후 개발 작업은 순탄하게 진행될 전망이다.
용인플랫폼시티는 환경영향평가 등 각종 영향평가 결과와 관련 기관 협의 등을 반영해 △주거용지 37만7718㎡(13.8%) △상업용지 15만8701㎡(5.8%) △산업용지 44만9705㎡(16.4%) △도시기반시설용지 162만9291㎡(59.8%) △기타시설용지 11만3454㎡(4.2%)로 계획됐다.
특히 산업시설용지를 조성해 반도체 연구개발(R&D) 기업 등 첨단산업을 집중 유치할 계획이다. 이 공간은 인근 이동·남사읍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와 원삼면 용인반도체클러스터를 연결하는 ‘L자형 반도체 벨트’의 핵심 축으로, R&D와 생산 기능이 연계된 배후 거점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이 중 27만㎡는 도시첨단산업단지로 지정돼 취득세와 재산세 감면 혜택이 제공되며, 첨단 업종 기업들의 입주 기반이 강화됐다.
용인플랫폼시티는 첨단산업뿐 아니라 GTX 구성역을 중심으로 수인분당선, 경부지하고속도로 등 수도권 교통망과 연결돼 반도체 산업 종사자들에게 직주 근접 환경을 제공한다.
계획인구는 2만7283명으로, 주택 1만105가구가 공급된다. 이 중 1954가구(19%)는 공공임대주택으로 계획돼 다양한 계층의 정주 여건을 지원한다.
또 GTX 구성역 일대 9만여 평을 특별계획구역으로 지정해 컨벤션센터, 호텔 등 마이스(MICE) 시설을 설치하고 민간사업자 공모를 통해 창의적인 복합도시계획을 구축해 경기 남부 랜드마크로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이 시장은 “용인플랫폼시티는 수도권 남부의 핵심 거점이 될 자족도시를 목표로 하는 만큼 많은 인구 유입과 일자리 창출이 기대된다”며 “용인플랫폼시티가 대한민국의 명품 도시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 부지사는 “용인플랫폼시티 착공을 진심으로 축하드린다. 착공하기까지 많은 기관 관계자가 도움을 주셨다”면서 “더 나은 삶의 기회를 제공하고, 경기 남부권을 대표할 자족 도시인 용인플랫폼시티가 새로운 미래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